맨위로가기

인천 채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채씨는 채림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시대에 동지추밀원사를 지낸 채선무를 시조로 하며, 채보문, 채수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주요 인물로는 채문식, 채명신 등이 있으며, 과거 급제자 21명, 생원·진사 85명을 배출했다. 1985년 34,838명, 2015년 43,387명으로 인구가 조사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충청북도 음성군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 채씨 - 채명신
    채명신은 한국 전쟁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 백골병단 지휘, 주월 한국군 사령관 역임, 대한태권도협회 초대 회장 역임 등의 활동을 했으나, 일부 논란과 함께 말년에는 참전 용사들을 위한 활동에 헌신했다.
  • 인천 채씨 - 채수
    채수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작가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역임하고 폐비 윤씨의 휼양을 청하다 파직되었으나, 중종반정 가담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며 《설공찬전》과 《나재집》 등의 저서를 남겼고, 사후 임호서원이 건립되고 신도비가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인천 채씨
기본 정보
성씨인천 채씨
한자 표기仁川蔡氏
나라한국
관향인천광역시
집성촌경상북도 대구
경산
거창
흥해
상주
문경
해주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시조채선무(蔡先茂)
년도2015
인구43,387명
인물
비고

2. 기원

司馬遷중국어의 《사기》에 따르면, 우리 민족의 원류 중 하나인 동이족의 선계인 삼황오제의 계대를 보면, 황제 헌원씨의 증손자인 사도(司徒) 설(契)의 후손인 채림(蔡琳)이 은나라 왕족 기자를 따라 고조선에 들어온 것이 채씨의 기원이다.[1] 황제 헌원씨의 아들인 현효, 손자 교극에 이은 제왕이자 토지를 관장하는 사도의 벼슬로 통치했고, 상나라 성탕왕의 선조로 알려져 있다.[1] 기록에 등장하는 채씨는 신라 제17대 내물왕의 옹주와 결혼한 채보한의 후손인 채원광이 부마이자 정승을 지냈다고 전한다.[1]

3. 역사

인천 채씨의 시조 채선무(蔡先茂)는 고려 때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에 추증되었다. 채선무의 단소(壇所)는 대구 도곡산에 있다.[1]

3. 1. 고려 시대

시조 '''채선무'''(蔡先茂)는 고려 때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에 추증되었다.

채선무의 아들 채신징(蔡愼徵)은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손자 채보문(蔡寶文)은 1163년(고려 의종 17년)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금성백(錦城伯)에 봉해졌다.[1]

3. 2. 조선 시대

시조 '''채선무'''(蔡先茂)는 고려 때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使)에 추증되었다. 채선무의 단소(壇所)는 대구 도곡산에 있다.

채선무의 아들 채신징(蔡愼徵)은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로 대장군(大將軍)을 지냈다. 채선무의 손자 채보문(蔡寶文)은 1163년(의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대제학(寶文閣大提學)을 지내고 금성백(錦城伯)에 봉해졌다.[1]

4. 분파

인천 채씨는 10세 채귀하(蔡貴河)의 손자대에서 7개의 파로 나뉜다.[1]

11세12세분파
채영채기직장공파(直長公派)
채륜필선공파(弼善公派)
채부채우상판서공파(判書公派)
채동양채승참의공파(參議公派)
채명양채징군수공파(郡守公派)
채연생원공파(生員公派)
채호배천공파(白川公派)


5. 주요 인물

인천 채씨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5. 1. 고려


  • 채보문 : 1163년(고려 의종 17) 문과에 급제하여 은청광록대부, 병부시랑, 추밀원사, 예부상서, 태자빈객 지제고, 보문각대제학을 역임하였고, 금성백에 봉해졌다. 『동문선』에 칠언율시 3수가 전한다.[1]

5. 2. 조선


  • 채수(1449년 ~ 1515년): 1469년(예종 1) 식년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대사헌, 충청도관찰사, 호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에 가담하여 분의정국공신(奮義靖國功臣)에 녹훈되고 인천군(仁川君)에 봉군되었다. 저서는 《나재집》이다. 좌찬성에 추증되고, 시호는 양정(襄靖)이다.
  • 채소권: 채수의 아들. 1506년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 홍문관부제학을 거쳐 1531년 경기도관찰사, 1533년 대사헌을 역임하고, 1535년 형조판서에 이르렀다.
  • 채무택(? ∼ 1537년): 1524년(중종 19) 문과에 급제하여 1535년 대사간을 거쳐 1536년 부제학이 되었다.
  • 채무일(1496년 ∼ 1556년): 채수의 손자. 1540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정랑, 헌납, 한성서윤을 역임하였다.
  • 채무(1588년 ~ 1670년): 1633년 증광문과에 급제하고,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1648년 성균관전적을 거쳐 병조좌랑이 되었다. 저서는 『백포문집』이다.
  • 채이항(1596년 ∼ 1666년):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고, 청나라를 배척하는 상소를 올려 심양에 잡혀갔다가 돌아왔다. 1648년 선공감역, 1661년(현종 2) 석성현감을 거쳐 평시서령에 이르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경헌(景憲)이다.
  • 채헌징(1648년 ∼ 1726년): 1678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사간원헌납, 사헌부지평, 진주목사, 인동현감, 영해부사 등을 지냈고, 1719년 통정에 올라 첨지중추부사에 임명되었다. 저서는 『우헌문집』이다.

5. 3. 근현대


  • 채문식(1925년 ~ 2010년) : 제8·9·10·11·12·13대 국회의원, 제11대 국회 의장을 역임하였다.
  • 채명신(1926년 ~ 2013년) : 육군 중장
  • 채재억(1938년 ~ ) : 제9대 공업진흥청장
  • 채이식(1949년 ~ ) :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채희봉(1966년 ~ ) :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

6. 항렬표

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종(種)태(泰)교(敎)직(稙)운(雲)균(均)화(和)구(求)규(奎)수(秀)제(濟)


7. 과거 급제자

문과무과생원시진사시


8. 집성촌

인천 채씨 집성촌
지역상세 지역
인천광역시남구
충청북도음성군 원남면 삼용리
경상북도칠곡군 기산면 행정리
경상북도상주시 이안면, 함창읍
경상북도문경시
경상북도포항시 북구 흥해읍 양백1리(백산), 대련리(하일), 망천리(동부)
대구광역시동구 미대동, 지묘동
경상남도고성군 예성리
경상남도거창군
충청남도연기군 동면 합강리
경상북도경산시
충청남도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9. 인구 통계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8,515가구34,838명
2000년11,415가구37,391명
2015년43,387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